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체육4

모두를 위하지 않았던 스포츠 - 한국체육사 모두를 위하지 않았던 스포츠 빼앗긴 운동장, 빼앗긴 스포츠 아파트가 우리 사회의 지배적 주거 형태가 되기 이전 우리 사회의 도시에는 단층의 한옥이 백백이 들어차 있었고. 그 한옥들 사이로 미로 같은 골목길이 펼쳐져 있었다. 승용차도 거의 다니지 않던 시절 그 골목길은 개구쟁이 어린이들의 놀이 공간이었다. 학교수업을 마치고 동네로 돌아온 아이들은 그곳에서 딱지치기와 구슬치기를 했으며, 술래잡기와 사방치기, 비사치기, 제기차기 등 의 민속놀이를 즐겼다. 근처에서는 여학생들의 고 무출놀이가 진행되었으며, 짓궂은 남아들이 고무줄을 끊고 도망갈 때 골목길에는 새된 고함 소리가 울려 퍼지기도 했다. 그리고 어느 때인가부터 그곳에서는 축구와 비슷한 행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아이들 스스로는 축구라고 생각했지만 실상 그.. 2023. 6. 23.
근대 학교에서의 체육교육 체육 중요하다는 생각 우리는 조선시대의 우리 사회가 무(a)를 천시하고 문(X)을 중시 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 결과 체육을 비롯한 신체활동에 별다른 중요 성을 부여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성립 을 전후하여 이런 경향은 급격히 바뀌기 시작한다. 전반적으로 교육의 중요성 이 강조되는 가운데 그중에서도 체육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급격히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사실 조선 말기만 하더라도 체육은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낯선 개념이었다. 하지만 대한제국 성립기에 개화 또는 근대화에 대한 열망이 팽배하고 교육개혁이 시도되면서 체육이라는 낯선 개념이 빠르게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런 생각의 변화와 더불어 체조를 비롯하여 서구에서 들.. 2023. 6. 14.
근대적 학제의 도입과 변화 교육개혁을 향한 분투 학교의 의미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후속 세대에게 선대의 축적 된 지식을 전해 주고 사회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사회화의 의미에서 학교를 정 의한다면 우리 사회에서도 학교는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제3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대에 따라 명칭은 바뀌고 교육내용에도 변화가 있었지만 상위신분의 자제를 적절히 교육시킴으로써 다음의 지배층을 길러 내고 이를 통해 체제의 연속성을 이어 가려는 목적에서 이미 고대시대부터 여러 학교가 만들어졌던 것이다. 이와 같은 교육의 틀이 근본적으로 뒤바뀐 것은 근대적 학제가 도입되면서 부터이다. 19세기 말부터 우리 사회에 서구의 학제가 도입되어 과거의 틀을 대체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학교의 명칭과 구성이 바뀌었으며 교육내용 에도 급격.. 2023. 6. 13.
근대적 학교의발전과 체육 교과목의 도입 점심을 먹을 때마다 지나치는 초등학교의 교문 앞에는 매일 많은 학부모가 진을 치고 자녀를 기다린다. 하고 시간이 되면 갓 입학한 초등학생들이 환한 웃음을 지으며 교문으로 몰려나와 기다리던 부모에게 달려간다. 반갑게 아이 들을 맞은 학부모들은 가방을 건네받아 혹은 손을 잡은 채 혹은 차를 탄 채 집 으로 향한다. 집으로 가는 도중 부모와 아이들은 오늘 하루 학교에서의 생활에 대해 이야기꽃을 피운다. 초등학교가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익숙한 풍경이지만 조금 관 점을 달리해서 보면 의아한 느낌이 들 수도 있다. 그들은 왜 이런 번거로운 일 을 매일 되풀이하는 것일까? 왜 아이들은 매일 아침 졸린 눈을 억지로 비벼 떠 야 하고, 학부모들은 그들을 학교로 데려다주고 데려오는 것일까? 여러 가지 이유 .. 2023. 6. 11.
반응형